2008년 9월 20일 토요일

의사소통의 기술

우리가 살면서 서로 의사소통을 하지 않고 살 수는 없습니다. 그 의사소통을 하는 수단은 주로 말 또는 글이지요. 언어의 메시지 전달력의 한계는 분명히 있겠지만 그걸 알고서도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은 말이나 글이 거의 유일한 수단일 것입니다. 물론 "염화시중의 미소" 같은 것으로 화답을 하거나, 무슨 암호문 같은 "선문답"으로 멋있는 대화를 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그게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니까요.

내가 말을 하거나 (글을 쓰거나) 또는 남의 말을 들을 때 (글을 읽을 때) 약간의 기술이 필요하고, 그 기술을 습득하는데도 약간의 훈련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흔히 "남의 말을 잘 듣기" 보다는 내가 "말을 잘 하기"가 훨씬 어렵다고들 생각하기 쉬운데... 제가 보기에는 거꾸로인 것 같습니다.

우리가 글을 쓸 때와 남의 글을 읽을 때 조심할 점들 또는 실수하기 쉬운점들을 몇가지 생각해 봤습니다.

글을 쓸 때 조심할 점들...

- 내가 전하고자 하는 바가 분명히 전달되도록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노력할 것.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표현 방법이나 어휘 선택에 상당히 신경을 써야 할 것입니다.

- 비아냥거리는 말투, 과격한 말투, 애매한 표현, 욕설 등은 절대 금물. 특히 빈정거리는 말투가 습관화 된 사람들이 흔히 있습니다. 그런 사람들은 버릇이기 때문에 많은 노력을 해야 고쳐질 것입니다. (물론 일부러 남의 속을 뒤집어 놓으려고 작심하고 덤비는 경우에는 의도를 갖고 하는 짓이라 막을 도리가 없겠지요. 그런 사람들은 원래 질적으로 나쁜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냥 쓰레기처럼 취급을 해 버리고 한쪽 귀로 듣고 한 쪽 귀로 흘리는 것이 최상책입니다.)

- 공개된 게시판에서 글을 쓸 때는 가능하면 지나치게 감정적인 표현이나 낱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게 되면 자칫 글이 무미건조하여 생명력을 잃기 쉽지만 말썽을 일으킬 소지가 줄어 듭니다. 결국 적절한 조화가 필요할 듯... (물론, 글의 목적이 자기 감정을 표현하는 경우나 문학적인 글인 경우는 예외이겠지만...)

- 말을 할 때는 뱉어 내고 나면 다시 주워 담을 수가 없지만, 글을 쓸 때는 읽어 보고 또 읽어 보고 한 다음에 글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면 그런 버릇을 들인다. (그런데 제 경우에는 오프 라인에서 글을 다 쓴 다음 올리려고 하면 마치 허공에다 말하는 것 같아서 글도 잘 안 쓰여질 뿐 아니라 글이 딱딱하고 무미건조해지더군요. 그래서 저는 이 방법을 잘 안 씁니다.)

다른 사람의 글을 읽을 때 주의할 점들... (제대로 읽기가 쓰기보다 훨씬 어려운 듯...)

- 게시판의 글읽기를 할 때 많은 경우 휘리릭~~ 읽어 버리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이런 경우 자칫 글쓴이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글 속에 있는 몇몇 낱말이나 표현에 집착해서 그 글의 내용을 속단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결국 바로 오해가 생기는 것이지요. 그리고는 본래의 논지와는 별 상관이 없는 소위 "말꼬투리" 잡고 늘어지기 언쟁(논쟁이 아니라)이 벌어지곤 하지요. 그렇게 하든 말든 결국 읽는 사람의 자유지만, 적어도 댓글을 달고자 할 때는 다시 꼼꼼히 읽어서 글쓴이의 진의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런 노력을 하더라도 언어의 메시지 전달력의 한계에서 오는 오해는 피할 수가 없는데...

- 글을 비록 세심하게 읽는 경우 마저도 대부분 사람들은 그 글에서 자기에게 필요한 (또는 유리한) 말만 골라서 읽는 (듣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같은 글을 읽고도 사람들마다 각기 다른 해석들을 하고는 하지요. 그래서 글쓴이 또는 말하는이의 진의를 파악하려는 노력이 매우 중요한 것이겠지요. 또 그래서 "말하기"보다 "말듣기"가 더 어려운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 많은 경우 글 내용이 무엇인가보다 누가 쓴 글인가에 집착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꼭 같은 글이 조선일보에 실렸을 때와 한겨레에 실렸을 때 다르게 판단하는 오류들을 많이 범합니다. 말하자면 글을 읽기 전에 미리 선입견(편견)을 갖고 글을 읽기 시작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읽는이가 호감을 갖고 있는 사람 또는 평소에 자기와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 (소위 코드가 맞는 사람)이 쓴 글에서는 내 생각을 굳히는 부분을 열심히 찾게 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흠 잡을 부분을 열심히 찾게 되지요. 결국 얻을 것은 하나도 얻지 못하고 자기 생각이 옳다는 집착만 더 강해질 수 밖에. 가만히 생각해 보면 정말로 바보 같은 짓입니다. 자기가 냉철하고 지혜롭게 판단해야 할 일을 남한테 맡기는 것이나 마찬가지니까요. 결국 코드가 맞는 사람끼리 모여서 어울리고, 편가르기가 되고, ... 일종의 집단 자위행위를 하는 꼴이 되는 것이니요.

그래서 학술 논문을 심사하고 평가할 때는 대부분의 경우 글쓴이의 이름을 드러나지 않게 하고서 평가를 하게 됩니다. 그렇게 블라인드 시스템으로 평가를 하는데도 많은 경우 필자의 논지나 문체 또는 인용문헌 등으로 미루어 필자를 짐작할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상 "글 쓰기" 및 "글 읽기" 기술(?) 몇 가지를 생각나는데로 적어 봤습니다.

최근 우리 부처세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갈등들이 혹시나 본질적인 문제, 아주 중요한 문제, 또는 아주 심각한 문제들에 대해서 견해가 달라 생기는 문제들이 아니라 바로 "의사소통 기술"의 미숙함에서 오는 문제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 봤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다들 부처세상을 너무도 사랑하는 마음들을 갖고 있는 것 같고, 다들 부처세상을 위해 너무 열심히들 하고 있는 것 같은데... 다만, 그 사랑하는 방법들이 약간씩 (많이도 아니고 정말로 약간씩) 다를 뿐이고, 거기다가 의사소통의 미숙에서 오는 약간의 (정말로 약간의) 오해에서 밪어진 "약간의" 갈등 같은데... 그것이 어쩌다 보니 심각한 문제처럼 부풀려서 보이는 것은 아닌지...? 그렇다면 성장과 발전을 위한 진통 정도 ...? 이건 오히려 좋은 거 아닌가요?

이상 도신의 횡수였습니다.
_()_()_()_

댓글 없음: